top of page

Song Burn Soo

1943

“Everyone has a way of approaching a single possibility whether it’s about a family, a society or a country, and it came to my mind that it’s a way of daily life and a philosophy of life.” _Song BurnSoo Song BurnSoo has produced woodblock prints of thorny roses ever since he began studying in Paris in 1975, and the thorn has settled as a major motif for his tapestries, paper reliefs, prints, and paintings, embodying his life and art and reflecting his stream of consciousness—where his gaze is fundamentally directed. His artistic journey, dedicated to a rumination on the idea of thorns, has been a process of pursuing purity and light in the gray zones between despair and hope, suffering and joy, and life and death. The thorn as sublimated through this senior artist’s expression points to an alternate possibility of visualizing cosmic wonder. In 2000, he received the decorated Order of National Service Merit in Korea, and in 2001 he won the first golden fleece prize on the occasion of the 10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Hungarian State. Along with the large-scale retrospective, 'Song BurnSoo_Pantomime of 50 Years' i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his work has been featured in exhibitions in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2023), Hammer Museum (LA, 2024),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016), Museum of Fine Arts Budapest (2005), MMCA Korea (2003), Daejeon Museum of Art (2000), Busan Museum of Art (1999),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1987), The 3rd Indépendants(1975), The 1st Ecole de Séoul(1975), The 2nd Korea’s AG(Avant-Garde) Group(1971). His work is represented in the collections of MMCA Korea, Seoul Museum of Art, Busan Museum of Art, Daejeon Museum of Art, National Museum of Budapest and H.Q of Korean U.N., Switzerland.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사실은 어떤 하나의 가능성을 향해서 그것이 가정이든 사회든 국가든, 그 가능성을 향해서 접근하는 방식. 그 방식이 결국 생활의 방식이고 삶의 방식이 아닌가 생각하게 됐습니다.” _송번수 1975년 파리 유학시절부터 송번수는 가시가 있는 장미를 목판화로 제작하였고, 이후 ‘가시’는 태피스트리로 종이부조와 판화, 회화로 삶과 예술이 응축된 작가 자신의 본질적인 시선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끝없는 의식의 흐름이 반영된 테마가 된다. 절망과 가능성 사이, 수난과 기쁨 사이, 삶과 죽음 사이에서 순수하고 빛을 갈망하며 고뇌하는 가시를 씹는 예술가의 여정에서 노년의 송번수가 표현하고 있는 승화된 가시는 우주적 경이를 표현하는 또 다른 가능성을 향해 있다. 송번수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이자 1998년 섬유공예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직접 설립한 마가미술관의 관장이다. 2000년 국민포장 훈장 대통령상을 받았으며 2001년 '헝가리 개국 1000년 기념 국제 타피스트리 전시회'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 '송번수_50년의 무언극'을 포함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Solomon R. Guggenheim Museum, 뉴욕, 2023), 해머 미술관(Hammer Museum, LA, 2024), 경기도미술관(2016), 부다페스트 미술관(Museum of Fine Arts Budapest, 2005), 국립현대미술관(2003), 대전시립미술관(2000), 부산시립미술관(1999), 도쿄시립미술관(1987), 제3회 앙데팡당전(1975), 제1회 에꼴드 서울(1975), AG(한국아방가르드협회) 2회전(1971) 등 유수의 기관의 전시에 참여했다. 작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부다페스트 국립미술관(National Museum of Budapest, Hungary), 제네바 한국 유엔본부(H.Q of Korean U.N., Switzerland) 등에 소장되어 있다.
  • Instagram
  • Facebook

ⓒ SONG ART GALLERY.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