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im ChunHwan
1968
The intensely textured surface of Kim’s collages presents an abstract element that is in equal amounts provocative and reassuring. The textures challenge Kim’s audience by creating a seemingly aimless, even anarchic surface, although it is also clear that the individual papers have often been arranged to create an overall gestalt, in a recognizable pattern such as a circle, a spiral, or a spiky puzzle of diagonals. The sheer ingenuity of Kim’s visual intelligence cannot be denied, but he is asking, I think, for something deeper: a work whose very materials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social reality. The actual images may be hidden to us, but they are certainly there, caught up in their function as elements of a larger work of art. What we don’t see becomes as important as what we do look at thus, from the experience of Kim’s art we may extrapolate to the — experience of ourselves, with our inner self, its thoughts and emotions, disguised by our public demeanor and symbolic actions. That Kim has been able to build a body of work that does speak to the inner lives of people defines him as an explorer someone for whom art is not only a physical process but also a private — endeavor meant to investigate. Thus Kim invites the contemplation of physical space shored up by the treatment of throwaway articles, which become more than things and edge their way toward the articulation of notable insight.
_Jonathan Goodman, Kim chunhwan: Too Much to Handle?
강력한 질감의 콜라주 표면은 도발적이며 동시에 위안을 주는 추상적 요소이다. 각각의 종이는 원형이나 나선형 혹은 뾰족한 퍼즐 같은 명확한 패턴 아래 배치되어 전체적인 게슈탈트를 완성하지만 목적성을 상실한 무질서한 표면이 주는 작품의 질감은 관람객을 혼란에 빠트린다. 작가의 시각 지능이 갖는 완전한 독창성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보는 그는 여전히 사회 현실의 실태를 반영하는 재료를 통한 작업 같은 보다 심도 깊은 무언가를 갈구한다. 실제 이미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그것은 분명 거기에 있고 거대한 예술 작품의 한 요소로서 그것의 기능 안에 갇혀있다. 볼 수 없는 것은 우리가 볼 수 있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됐다. 우리는 그의 작품을 통해 상징적 행위와 집단적 태도의 가면을 쓰고 있는 우리의 내적 자아, 즉 사고와 감정을 탐색할 수 있다. 작가는 예술을 단순한 물리적 과정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탐구를 위한 개인의 노력과 시도임을 믿는 일종의 탐험가로 인간의 내적 삶에 호소하는 작품을 구현하고 있다. 작가 김춘환이 요구하는 것은 물질 그 이상이 되어버린 그리고 깊은 통찰의 대상으로 조금씩 자신의 위치를 바꿔가고 있는 버려진 종잇조각들로 지탱되어 있는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성찰이다.
_조나단 굿맨, 김춘환, 너무 과해서 감당하기 힘들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