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hung Sang Hwa

1932

“My work starts on a plane and ends on a plane. The world of planes is richly embedded with infinite expressions. I did not only think about the plane—the surface flowing up and down—but also the movement of moving in and out like the heart beats. […] The surface of my work represents things on which the breath goes in and out and the pulse beats and disappears. To visually turn it into a language—that is what really matters.” _Chung Sang-Hwa “제 작품은 평면에서 시작되어 평면으로 끝납니다. 평면의 세계라는 것은 무한한 표현이 풍부하게 내포되어 있어요. 평면 즉, 표면이 상하 좌우로 흐르는 것만이 아니라, 심장이 뛰듯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움직임까지도 나는 생각하며 고민했어요. […] 내 작품의 표면은 호흡이 들어갔다가 나왔다가, 맥박이 뛰었다가 지웠다가 하는 것들이니까. 그것이 시각적으로 언어화 된다는 것. 그게 참 중요한 거예요.” _정상화 정상화는 1932년 경북 영덕 출생으로 1957년 대학을 졸업한 후, 《한국현대작가초대전》(1960), 《악뛰엘 그룹전》(1962), 《세계문화자유회의 초대전》(1963) 등 다수의 정기전, 그룹전에 참여했고, 파리비엔날레(1965), 상파울로비엔날레(1967) 등에 한국 작가로 출품했다. 1967년 프랑스 파리로 갔다 1년 후 귀국한 작가는 1969년부터 1977년까지 일본 고베에서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했고, 이후 1978년부터 한국으로 영구 귀국했던 1992년 말까지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작업에 몰두했다. 1992년 11월 귀국하여 1996년 경기도 여주에 작업실을 짓고 자리 잡은 후에는 줄곧 한국에서 창작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학창 시절 대상을 재현하는 구상 회화를 주로 그렸던 정상화는 1950년대 중후반이 지나면서 앵포르멜 경향의 표현주의적 추상을 실험했다. 이후 일본 고베로 건너갈 무렵부터 작가는 앵포르멜에서 단색조 추상으로의 전환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1970-80년대 고베와 파리에서의 작업활동을 통해 그를 대변하는 단색조의 격자형 화면 구조가 확립되었다. 정상화는 다양한 기법과 매체 실험을 통해 종국에 캔버스 위에 물감을 “들어내고 메우기”를 바탕으로 한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방법론을 발견해냈다. _국립현대미술관《정상화》
  • Instagram
  • Facebook

ⓒ SONG ART GALLERY.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