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hun Kwang Young

1944

“South Korean artist Kwang Young Chun combines hundreds of paper-wrapped parcels to create sculptural compositions, called Aggregations, that look like crystal formations, asteroids, or the surface of the moon. The Aggregations are simultaneously Space Age and nostalgic, beautiful and violent, powerful and fragile. They draw on the artist’s training in abstract painting as well as memories of his childhood, when Korean apothecaries sold medicine in similar little bundles. Each parcel is wrapped in old book pages, printed in the traditional manner on Korea’s celebrated mulberry-pulp paper, called hanji. Chun likens the parcels to cells or units of information, and sees analogies to both chemistry and the human condition in the ways that the parcels interact physically: sometimes meshing, sometimes clashing. He compares the fragmentary passages of text on the wrappers—most taken from classics of Korean and Chinese philosophy—to voices overheard in a crowd.”_ Brooklyn Museum Solo exhibitions of Chun's work have been held at Sundaram Tagore Gallery, New York(2024); ); Palazzo Contarini Polignac, [BIENNALE ARTE 2022 Chun Kwang Young : Times reimagined], Venice(2022); Moscow Museum of Modern Art, Moscow(2022); Brooklyn Museum, New York (2018); Wooya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Gyeongju (2016). His work is in numerous public collections, including the British Museum and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London;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the United Nations, New York; th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Washington, D.C.; the Philadelphia Society Building, Pennsylvania;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and the Seoul Museum of Art; the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Canberra; and the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Malta. "한국의 작가 전광영은 종이로 감싼 수백개의 작은 조각을 조각적으로 구성하여 집합이라고 하는데 이는 마치 결정체, 소행성, 달의 표면처럼 보여지기도 한다. 집합 작품들은 우주시대적이면서 동시에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아름다우면서 폭력적이고, 강하면서도 연약합니다. 추상회화에 대한 작가의 훈련만이 아니라 한의사들이 약을 작은 묶음으로 팔던 작가의 어린시절의 기억을 바탕으로 합니다. 각 조각은 고서의 페이지들로 감싸지는데, 이는 닥나무로 한국 전통 방식으로 만들어져 인쇄된 한지입니다. 전광영은 이 조각을 세포나 정보의 단위로 비유하는데, 각 조각들이 때로는 맞물리고 대로는 충돌하는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화학과 인간의 조건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그는 주로 한국과 중국의 철학에서 가져온 감싸 종이의 단편적인 텍스트를 군중 속에서 들리는 목소리로 빗대기도 합니다." _브루클린 뮤지엄 전광영은 선다람 타고르 갤러리, 뉴욕(2024); 팔라쪼 콘타리니 폴리냑 , 베니스(2022), 모스크바현대미술관, 모스크바(2022); 브루클린 뮤지엄, 뉴욕(2018); 우양미술관 (구)아트선재미술관, 경주(2016)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런던의 대영박물관,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 뉴욕의 록펠러 재단과 유엔, 워싱턴 D.C.의 우드로 윌슨 국제학자 센터, 펜실베이니아의 필라델피아 소사이어티 빌딩, 서울의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 캔버라의 호주 국립미술관, 몰타의 국립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 Instagram
  • Facebook

ⓒ SONG ART GALLERY.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