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hoi Man Lin

1935-2020

Born in 1935, Choi Man Lin belongs to the last generation of artists who directly experienced upheavals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uch as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At the same time, Choi also belongs to the first generation of students ever to receive an art degree from a Korean university after the Korean War. From this background, he has incessantly striven to both succeed the discontinued traditions of his homeland and harmonize them with contemporary art. Through ongoing contempla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sculpture and self-examination of his own work, Choi established his own aesthetic vocabular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temporary art, Choi Man Lin has exerted a continuing influence as an artist, an educator and an administrator, playing a pivotal role in leading the field of Korean sculpture forward from relatively modest foundations. Developing the theme of the fundamental form of life in his Placenta, Vein, and Dot series eventually lead Choi Man Lin to the desire to connote the comprehensive signification of life while at the same time transcending its conceptual representation. Thus, it is in the O series that the will of the artist was expressed in its most reductive way. The title O was chosen in order to avoid the fallacy that a concept precedes or refines a form. As such, this series exemplifies his desire to eliminate unnecessary explanations and to discard any secondary elements. The series also signifies that Choi’s art has arrived at an open center space of his lifelong journey toward the root and origin of life and art. This space embraces all only by emptying and discarding all. _MMCA, A Korean Contemporary Artist: Choi Man Lin 1935년생인 최만린은 일제시대와 한국전쟁 등 한국 근현대사의 격변기를 몸소 체험한 현존하는 마지막 세대의 작가이다. 동시에 한국전쟁 이후 국내에서 미술교육을 받고 활동한 첫 번째 세대에 속하기도 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그는 단절된 전통의 계승과 현대성의 조화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으며, 한국적 조각의 정체성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자기 성찰을 통해 독자적인 조형언어를 구축해냈다. 또한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기반이 열악한 조각 분야에서 작가이자 교육가, 행정가로서 오랜 기간 활동하며 한국 조각계를 이끄는 구심적 역할을 해왔다. '이브'부터 '태'에 이르기까지 전개되던 생명의 근원 형태라는 주제는 이 모든 의미를 내포하면서도 동시에 개념적인 차원을 초월하고자 하는 의지로 귀결되었다. 'O'연작은 바로 이러한 작가의 의지가 가장 환원적인 방식으로 표현된 결과이다. 'O'라는 제목은 개념이 형태를 앞서거나 규정짓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 붙여진 것으로, 모든 불필요한 설명을 삭제하고, 부차적인 것을 버리려는 작가의 태도가 잘 드러난다. 이는 또한 생명의 뿌리, 근원을 찾아가는 기나긴 여정이 모든 것을 비우고 버림으로써 또 다시 포용할 수 있는 열린 세계에 이르렀음을 상징하기도 한다. _국립현대미술관, 한국현대미술작가: 최만린
  • Instagram
  • Facebook

ⓒ SONG ART GALLERY.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